칠통漆桶 조규일
2006. 1. 16. 14:46
2002년 01월 09일 |
강의내용 |
좌선(坐禪)하는 방법 / 칠통
조규일
좌선하려면 먼저 자세를 바르게 해야 되는데 앉는 자세에는 결가부좌(結跏趺坐),
반가부좌(半跏趺坐), 길상좌(吉詳坐)..등이 있다. 가부좌(결가부좌)를 연화좌(蓮花坐) 또는 금강좌(金剛坐)라고도
한다. 이 중에서 결가부좌(가부좌), 반가부좌가 참선의 기본 자세이다. 다리가 긴
사람들에게는 가부좌하기가 쉽지만 다리가 짧은 사람에게는 반가부좌가 쉽다. 아침, 저녁으로..시간이 있는 대로 항상 익혀서 습관이
들도록 해야 한다.
좌선하는 자리를 단(單)이라고 하고 좌선할 때 깔고 앉는 방석을
피단(被單)이라고 한다. 좌선용 피단으로는 큰 방석과 애기 방석이 있다. 집에서 하는
사람들은 집에 있는 일반적인 방석을 이용하면 된다. 앉을 때는 방석(浦團)을 끌어당겨 그 위에 엉덩이를 얹는데 결가부좌나 반가부좌로
앉는다.
그림을 통하여 앉는 방법을 보자

결가부좌의 순서:
*그림 1-1 : 왼발을 앞으로 내밀고 양손으로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얹는다. 이때 넓적다리 끝 부분까지 깊게 올린다 *그림 1-2 : 다음에 왼발을 오른 발 넓적다리 위에 얹는다. *그림
1-3 : 다음에 발바닥의 발가락 끝과 넓적다리 바깥쪽의 선이 일치가 되도록 깊이 낀다. *그림 1-4 : 반가부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아래로 깊이 넣고 왼발을 오른발 넓적다리 위에 얹는다. * 길상좌 : 왼발을 아래로 하고 오른발을 위로해서
끼운다. 일반적으로는 그다지 하지 않지만 다리가 저릴 경우 편의상 이를 행해도 좋다. 반가부좌에서 마찬가지다.
좌선
시 무릎이 올라가서는 안 된다. 무릎이 올라가지 않게 하려면 방석을 잘 조정해야 한다. 그러고 양 무릎을 단단히 바닥에
붙이고 엉덩이와 양 무릎 세 군데에 체중이 지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http://cafe.daum.net/lightroom ★카페"빛으로 가는 길 칠통사랑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