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기초적인 방법

기(氣)와 운기(運氣) (1)

칠통漆桶 조규일 2006. 1. 20. 13:46
등록일 2002년 01월 11일
강의내용 기(氣)와 운기(運氣) (1)  / 칠통 조규일




그림 1-1은 하단전, 중단전, 상단전의 위치이다
하단전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줄 때
하단전 뿐만 아니라 중단전 상단전도 함께 작용을 한다.

그림 1-2는 임독맥으로 기의 흐름을 보여 주는 것이다.
처음 코로 호흡을 하지만 전정이 열리면
전정을 통하여 맑은 기운이 들어온다.
수행하여 갈수록 백회가 열릴 때까지...
백회가 열리면 백회로 나쁜 기운이 빠져나가기도 하고
우주의 정보가 들어오기도 한다.
*유체이탈은 들숨 때 전정에서 단전까지 모든 기운을 끌고 내려와
날숨 때 하단전에 모인 모든 기운이 등줄기를 타고 을라 백회로 빠져나간다.
이를 의식적으로 계속하여 삼매에 들면 유체이탈을 한다.

그림 1-3에서
⑴은 하단전 ⑵는 중단전 ⑶은 상단전의 위치이고
①은 단전(丹田)으로 이곳에 의식(마음)을 두고 호흡했을 때 단전호흡
호흡의 들숨과 날숨에 따라 ①에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하는 것을
관(觀)하는 것이 관법 내지는 위빠사나
②는 석문(石門)으로 이곳에 의식(마음)을 두고
의식적으로 ②와 ⑴ 사이로 호흡했을 때 석문호흡
③는 회음(會陰)으로 이곳에 의식(마음)을 두고
의식적으로 ③과 ⑴ 사이로 호흡을 한다면 회음호흡
④는 명문(命門)으로 이곳에 의식(마음)을 두고
의식적으로 ④와 ⑴ 사이로 호흡을 한다면 명문호흡이다.

그림 1-3에서
하단전 ⑴이 가득 차면 중단전 ⑵로
중단전이 가득 차면 상단전 ⑶으로 기운은 가득 채운다.
사람에 따라 하단전 ⑴을 채우고 중단전을 지나 상단전 ⑶으로
차는 사람도 있다

http://cafe.daum.net/lightroom
★카페"빛으로 가는 길 칠통사랑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