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기초적인 방법
제 3의 눈 (상단전의 비밀)
칠통漆桶 조규일
2006. 2. 3. 12:41
등록일 |
2002년 01월 17일 |
강의내용 |
No: 1184 글쓴이: 칠통 시간: 2001-08-04(토) 06:46:07 조회: 59
제 3의 눈 (상단전의
비밀) / 칠통 조규일

제 3의 눈을 관찰해 보면 인당에서 그 뒤까지의 길이를 일직선으로 놓고 보았을 때 b와
c사이의 간격이 a에서 d까지 칠등분 중 한 등분을 차지한다. a, b, c, d는 각각 막을 가지고 있고 b와 c, d는 투명막으로
되어 있다. b, c, d는 투명막이라 하나 거울 같은 역활도 한다.
제 1의 문 a지점의 막이 열리면 a와 b 사이 b의
거울을 통해 혜안(慧眼)이 열리고 즉 지혜가 생기고
제 2의 문 b의 막이 구멍이라도 뚫리면 c의 막이 거울로 상이
맺혀 영안(靈眼)이 열리기 시작하고 b의 막이 사라지면서 c에 맺혔던 상이 점차적으로 d의 막 거울로 이동하고 제 3의 문 c의
막이 구멍이라도 뚫리면 빛이 새어나와 광안(光眼)이 열리기 시작함과 함께 c에 맺혔던 상이 d의 막 거울로 상이 맺히기 시작
c의 막이 사라져도 영안의 상이 d의 막 거울에 계속적으로 맺힌다. 물론 상이 비춰지되 조절을 잘해야 보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하겠다. 그리고 인당에서는 빛이 나온다.
a와 b의 간격은 전체를 7로 볼 때 3을 차지하고 b와 c의 간격은
전체를 7로 볼 때 1을 차지하고 c와 d의 간격은 전체를 7로 볼 때 3을 차지한다.
a는 그 위치가 인당이고
b와 c는 전정과 백회(百會) 사이의 간격을 4로 볼 때 앞 전정과 뒤 백회를 각각 1을 제외한 부분의 선상에 위치해 있고
b외 c의 간격은 이들 사이 2를 차지한 간격이다. 그리고 d의 위치는 백회와 옥침의 간격을 3으로 볼 때 1의 지점이 d의
위치이다.
a와 d는 기가 흐르는 혈(穴)자리에 있는 반면 b는 양 눈꼬리 끝 폭 들어간 태양혈과 연결되어 있으나
c는 연결된 혈(穴)자리가 없는 듯하다.
a의 막이 구멍이 뚫리며 a와 b 사이 가득한 액체 내지 기체 같은 것이
빠져나가며 막이 사라져 a와 b 사이가 맑고 깨끗하며 b의 거울 같은 막이 나타나 보이고 그것이 좀체로 흔적을 나타내지
않았다가 조금씩 흔적이 남아 구멍이 뚫리면 b와 c 사이에 가득한 액체 내지는 기체 같은 것이 빠져나가며 b와 c 사이가 맑고
깨끗하여 c의 거울 같은 막이 나타나 보이고 보여도 b의 막은 사라지지 않다가 점점 수행이 깊어짐에 따라 b의 막이 엷어지며 c의
막 거울에 흔적이 남고 b의 막이 사라지며 c의 막 거울에 구멍이 뚫린다. c와 d 사이를 보면 백회가 열리면 a, b,
c와 연관관계를 가지나 c와 d 사이는 맑고 깨끗하며 d쪽에서 c의 막 거울을 자극한다.
각 막의 크기를 보면
a-d를 일직선상으로 7등분했을 때의 크기 비율로 볼 때 a-d 선상이 각 막의 정점이 되어 a는 사방으로 약 1.3정도의
등분에 해당하는 만큼 분포되어 있고 b는 사방으로 약 1.7정도의 등분에 해당하는 만큼 분포되어 있고 c는 사방으로 약
1.2정도의 등분에 해당하는 만큼 분포되어 있고 d는 사방으로 약 1.4정도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머리 속 뇌의
구조를 잘 알면 b, c, d의 지점 위치에 뇌의 어느 부분으로 어떤 작용을 일으키는지에 대하여 좀더 소상히 밝힐 수 있겠으나
그렇지 못한 본인의 부족한 지식으로 인하여 뇌 부분과의 연결고리를 밝히지 못하는 점 아쉽다 하겠다.
|
http://cafe.daum.net/lightroom ★카페"빛으로 가는 길 칠통사랑방"★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