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법문(心地法門) 강서(江西) 도일(道一:709-788)스님은 한주(漢洲) 시방현(시方縣)사 람으로 성은 마(馬)씨이며 그 마을에 있는 나한사(羅漢寺)에 출가하 였다. 용모가 기이하여 소걸음으로 걸었고 호랑이 눈빛을 가졌다. 혀 를 빼물면 코끝을 지났고 발바닥에는 법륜 문신 두 개가 있었다. 어린 나이에 자주(資州) 당화상(唐和尙)에게 머리를 깎았고 투주 (투州) 원률사(圓律師)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당(唐) 개원(開院:713-742) 연중에 (형嶽)의 전법원(戰法院)에서 선 정을 닦던 중 회양(懷讓:677-744)스님을 만났는데,
회양스님은 스님의 근기를 알아보고는 물으셨다.
"스님은 좌선하여 무얼하려오?"
"부처가 되고자 합니다."
회양스님은 암자 앞에서 벽돌 하나를 집어다 갈기 시작했다. 그러자 스님이 말씀하셨다.
"벽돌을 갈아서 무엇을 하시렵니까?"
"거울을 만들려 하네."
"벽돌을 갈아서 어떻게 거울을 만들겠습니까?"
"벽들을 갈아서 거울을 만들지 못한다면 좌선을 한들 어떻게 부처 가 될 수 있겠는가?"
"그러면 어찌해야 되겠습니까?"
"소수레에 멍에를 채워 수레가 가지 않으면 수레를 쳐야 옳겠는 가, 소를 때려야 옳겠는가?"
스님이 대꾸가 없자 회양스님은 다시 말씀하셨다.
"그대는 앉아서 참선하는 것(坐禪)을 배우느냐, 앉은 부처를 배우 느냐. 좌선을 배운다고 하면 선(禪)은 앉거나 눕는 데 있는지 않으 며, 앉은 부처(坐佛)를 배운다고 하면 부처님은 어떤 모습도 아니다. 머뭄 없는 법에서는 응당 취하거나 버리지 않아야만 한다. 그대가 앉은 부처를 구한다면 부처를 죽이는 것이며, 앉은 모습에 집착한다 면 그 이치를 깨닫지 못한 것이다."
가르침을 듣자,스님은 마치 제호(제호)를 마신 둣하여 절하며 물으 셨다.
다시 물으셨다.
"어떻게 마음을 써야만 모습 없는 삼매(無相三昧)에 부합하겠습니 까?" "그대가 심지법문(心地法門)를 배움은 씨앗을 뿌리는 것과 같고, 내가 법요(法要)를 설함은 저 하늘이 비를 내려 적셔주는 것과도 같 다. 그대의 인연이 맞았기 때문에 마침 도를 보게 된 것이다."
다시 물으셨다.
"도가 모습(色相)이 아니라면 어떻게 볼수 있겠습니까?"
"심지법안(心地法眼)으로 도를 볼 수 있으니, 모습 없는 삼매도 그 러하다."
"거기에 생성과 파괴가 있습니까?"
"생성이나 파괴, 모임과 흩어짐으로 도를 보는 자는 도를 보는 것 이 아니다. 나의 게송을 듣거라."
심지(心地)는 모든 종자를 머금어 촉촉한 비를 만나면 어김없이 싹튼다 삼매의 꽃은 모습 없는데 무엇이 파괴되고 또 무엇이 이루어지랴
- 백장록 -
* 마음의 땅은 어찌하여 생겨났으며 마음의 땅에 자라는 종자는 어찌하여 봄이 되면 싹이 자라는가? 마음의 밭이 있으되 종자가 자라지 않고 종자가 있으되 싹이 자라지 않게 하려면 어찌하여 마음의 땅의 밭을 갈아야 할꼬? 마음의 땅은 무엇에 의지하여 있는가?
죽정이 싹을 띄우지 못하고 의지처 없고 상주처가 없는 마음에 머무를 땅이 있을까? 의지처는 무엇에 의지처고 상주처는 무엇에 상주처인가?
날짜:2004/04/13 06:10
의지처는 사대요, 상주처는 업(의식, 잠재의식, 무의식)이니 이를 여의면 주인공이어라. _()_ [2004/04/13]
어찌 여의을 수 있을까요? 의지처 있고 상주처 있는 이 대답하되 주인공 아니던가? 대답하는 이 주인공이라면 의지처 없고 상주처 없는 주인공과는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다른가? 어찌 여의을 수 있을까요? 의지처 있고 상주처 있는 이 대답하되 주인공 아니던가? 대답하는 이 주인공이라면 의지처 없고 상주처없는 주인공과는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다른가? [2004/04/14]
내가 묻고 내가 답하니 이는 상이 없음입니다. 상이 없으며 상이 없다는 그것도 없음이 의지함이 없는 주인공입니다._()_ [2004/04/18]
허공은 흔적 없고 말이 없되 상없는 곳 묻고 답하는 이는 누구이고 의지함이 없는 주인공은 묻고 답할 것이 있던가? 묻고 답할 것이 있다면 경계가 있는 것이고 상이 있는 것이다. 경계 없고 상없는 주인공은 일러야 할 것입니다. 허공은 흔적 없고 말이 없되 상없는 곳 묻고 답하는 이는 누구이고 의지함이 없는 주인공은 묻고 답할 것이 있던가? 묻고 답할 것이 있다면 경계가 있는 것이고 상이 있는 것이다. 경계 없고 상없는 주인공은 일러야 할 것입니다. [2004/04/16]
... _()_
|